멘토 Pick! 25년 8월 첫째 주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주도 카카오 출신 멘토님께서 이번 주에 직접 선정한 아티클을 공유드립니다!
멘토's Pick에서 트렌디한 인사이트를 놓치지 마세요! 🚀
🤔 들어가기 전에 알아두면 좋습니다!
- 대부분 아티클은 영문으로 제공됩니다. 영문 글을 읽을 때 크롬 번역 플러그인을 쓰면 읽기가 불편하나, 크롬 플러그인 하나를 설치하면 한국어를 읽듯이 좀 더 쉽게 영어 아티클을 읽을 수 있습니다. Trancy Chrome 플러그인을 설치 후 더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 아티클을 읽고 어떤 점을 더 고민해 보고, 생각해 보면 좋을지 제시해 주시는
멘토님의 Comment
도 잘 활용해 보시면 좋습니다!
💡How AI Vibe Coding Is Destroying Junior Developers' Careers
- 최근 AI 코딩 도구의 확산과 함께, 일단 돌아가게만 만든 코드를 빠르게 제출하는 분위기 속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 어떤 위험에 노출되는지를 다룬 글입니다.
- vibe coding이라는 키워드로 요약되는 이 흐름이 왜 문제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기초 역량을 갉아먹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AI가 만들어낸 코드를 그대로 붙여 넣는 일이 점점 당연해지고 있습니다.
빠르게 동작하는 코드를 얻을 수 있다는 건 분명한 장점이지만, 그 흐름 속에서 생각보다 많은 것들이 생략되고 있다는 점은 한 번쯤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꽤나 많은 주니어/신입 개발자들은 코드가 돌아가는 이유보다 잘 돌아간다는 결과에만 집중하게 되고 있습니다. 설계 없이 만들어진 구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 순간 문제를 정의하는 능력을 늘리기 어려워집니다.
개발자는 코드를 작성하는 사람이 아닌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사람입니다. 강력한 AI 도구를 사용하는건 좋지만 근본적인 개발 역량 없이 구현만한다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이 글을 읽어보고 경각심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Spring Transactional Rollback Deep Dive
- Spring에서 @Transactional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트랜잭션이 rollback되지 않는 상황이 왜 발생하는지를 정리합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트랜잭션이 안 먹는다는 건 꽤 자주 나오는 문제인데 정작 왜 그런지를 처음부터 끝까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Spring의 트랜잭션 처리는 단순히 예외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rollback된다는 식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어떤 예외가 던져졌는지, 어디서 호출됐는지, 어떤 방식으로 호출됐는지에 따라 rollback 여부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트랜잭션이 당연히 동작할 거라 생각하고 넘어갔던 분들이라면 한 번쯤 짚고 넘어가기 좋은 내용입니다.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세션 불일치 문제와 해결방법
- 여러 서버에 분산된 세션 처리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션 불일치 문제를 다룹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세션은 로그인만 잘 되면 끝나는 단순한 기능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서비스 구조 전반에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 세션을 서버 메모리에 둘지, 외부 저장소를 쓸지, 클러스터 환경에서 어떤 방식으로 일관성을 유지할지에 따라 관리하는 방식이 달라지는데요, 특히 앱 서버가 여러대가 있는 경우 세션관리는 더더욱 어려워집니다. 세션을 어디에 저장하고 어떻게 전파할 것인가라는 더 근본적인 질문을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
깊이 있는 인사이트와 현실적인 조언이 담긴 멘토님들의 인터뷰와 커리어 성장 콘텐츠가 데브클럽에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실력 있는 현직 개발자 멘토들과 직접 소통하고, 생생한 실무 노하우와 커리어 성장 전략을 배워보세요!
이 컨텐츠는 F-Lab의 고유 자산으로 상업적인 목적의 복사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