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 Pick! 25년 10월 셋째 주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주도 카카오 출신 멘토님께서 이번 주에 직접 선정한 아티클을 공유드립니다!
멘토's Pick에서 트렌디한 인사이트를 놓치지 마세요! 🚀
🤔 들어가기 전에 알아두면 좋습니다!
- 대부분 아티클은 영문으로 제공됩니다. 영문 글을 읽을 때 크롬 번역 플러그인을 쓰면 읽기가 불편하나, 크롬 플러그인 하나를 설치하면 한국어를 읽듯이 좀 더 쉽게 영어 아티클을 읽을 수 있습니다. Trancy Chrome 플러그인을 설치 후 더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 아티클을 읽고 어떤 점을 더 고민해 보고, 생각해 보면 좋을지 제시해 주시는
멘토님의 Comment
도 잘 활용해 보시면 좋습니다!
Active-Active for Multi-Regional Resiliency
- >>> 아티클 전문 보러가기 >>>
- 넷플릭스가 단일 리전 장애에도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모든 리전을 동시에 운영하는 Active-Active 아키텍처를 구축한 과정을 소개한 글입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리전이 하나뿐인 서비스는 결국 한 지점이 멈추면 전부 멈춥니다. Active-Active 구조는 이런 상황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지만 말처럼 간단하지 않습니다. 모든 리전이 동시에 요청을 처리하려면 데이터 일관성과 동기화, 배포 시점까지 모두 일치해야 합니다.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멀티리전의 서비스가 이를 모두 챙기기는 쉽지 않으며 기술적인 설계보다 ‘운영을 어떻게 맞출 거냐’가 더 큰 고민이 됩니다.
즉, 한번에 모든 배포가 이루어지는 작업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배포나 동작 방식에 재설계가 필요합니다. 이중화는 장비를 두 배로 늘리는 게 아니라, 동작 방식을 바꾸는 일에 가깝습니다.
테스트 코드에서 내부 구현 검증 피하기
- >>> 아티클 전문 보러가기 >>>
- 테스트 코드가 내부 구현 세부사항에 의존할 때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다루며 테스트코드의 목적을 다시 설명해줍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테스트 코드를 짜다 보면 의도치 않게 구현 로직을 따라가며 검증하게 됩니다. 이러면 코드가 조금만 바뀌어도 테스트가 줄줄이 깨지고 테스트코드의 관리가 정말 어려워집니다. 테스트는 내부 구조를 감시하는 도구가 아니라 비즈니스 로직과 결과를 확인하는 장치여야 합니다.
테스트의 목적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단순히 특정 코드를 호출했는지 테스트하고 있지 않은지 점검해봅시다.
레디스가 제공하는 분산락(RedLock)의 특징과 한계
- >>> 아티클 전문 보러가기 >>>
- Redis에서 제공하는 RedLock 알고리즘이 어떻게 분산 환경에서 안전하게 락을 획득하고 해제하는지를 설명하며, 복제 지연과 split-brain 같은 한계를 함께 다룬 글입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분산락 도입을 고려할 때 도입을 고려하는 redis lock은 간단해보이지만 생각보다 만만하지 않습니다. 노드간 지연과 복제타이밍으로 인한 락 오류 등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트래픽이나 경쟁상태가 적은 서비스에서 쓰기에 나쁘지 않으나 데이터 일관성이 정말 중요한 서비스라면 락의 안정성보다 트랜잭션 설계나 큐 기반의 직렬 처리로 문제를 푸는 게 더 안전할 때도 많습니다.
깊이 있는 인사이트와 현실적인 조언이 담긴 멘토님들의 인터뷰와 커리어 성장 콘텐츠가 데브클럽에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실력 있는 현직 개발자 멘토들과 직접 소통하고, 생생한 실무 노하우와 커리어 성장 전략을 배워보세요!
이 컨텐츠는 F-Lab의 고유 자산으로 상업적인 목적의 복사 및 배포를 금합니다.